우리마을이야기 118 성수면 용포리 반용마을

▲ 올해 이장을 맡은 조경주 이장은 천혜의 자연조건을 가진 반용마을을 잘 가꾸어 나가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해가 떠오르기 시작하면서 강가에 엷은 물안개가 피어오른다. 그 물안개 너머 1975년에 만들어진 나지막한 다리가 보인다. 그리고 그 다리 건너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 성수면 용포리 반용마을이 나온다.
 
◆마을의 유래와 역사
성수면 용포리 반용마을은 동래 정씨, 진주 강씨, 옥천 조씨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예전에는 진주 강씨의 집성촌이었으나 40년 전쯤에 마을을 하나씩 떠나기 시작하면서 지금은 각성바지 마을을 이루고 있다.
마을 앞으로는 섬진강 줄기인 오원천이 드넓게 흐르고 마을 뒤로는 성수산이 둘러 있는 배산임수형 마을이다. 마을에 한 때 닥나무가 많이 자생하여 한지공장이 2군데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한지에 대한 수요가 점점 줄어들면서 40년 전 쯤에 없어졌다.

조경주 이장은 "어릴 때 마을에 이발소가 없어서 한지공장 일을 하던 양금석 씨가 닥나무 깎는 닥칼로 머리를 잘라줬어요. 그런데 칼날이 조금 잘못 가면 얼굴에 상처가 나기도 했지요."라면서 "요즈음 예전 한지공장의 명성을 다시 이어볼까 싶어 교육도 받고 그랬는데 다시 시도하기가 그리 쉽지가 않네요. 당장 수익이 나오는 일이 아니니까 마을 사람들에게 해보자고 적극적으로 말하기가 쉽지가 않아요."라고 말한다.
한편 마을에는 1,200년 전 반용사라는 절터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 전체가 반용사 터였다고 한다.

"한국사라는 책에 보면 반용사 절터가 있다는 기록이 있는데 마을 안쪽과 뒷산에 사찰 기와가 나오는 것을 보면 마을 안에 반용사가 있었던 거 같아요."
이 외에 은선암이 반용마을 북쪽, 성수산 중턱에 위치한다. 1910년 경 김홍직 스님이 중건하여 입법당 형태로 유지해 왔다. 현재는 무성스님이 주지를 맡고 있다. 포동마을과 반용마을 주민들은 정월, 4월 초파일, 칠월 백중에 은선암을 찾는다.

또한 마을 뒷산에는 광산이 있었다고 한다. 일제시대에 채금한 금을 장항 제련소로 보냈다. 이후 반용마을에 광소공장을 세워 직접 금을 선별하였다.
"그 때 마을에 제무시라는 트럭이 한 대 있었어요. 그 트럭을 한 번 움직이려면 장정이 필요한데 이유가 뭐냐면 시동을 사람이 돌려서 걸었거든. 범퍼 앞에 있는 구멍에 철재를 넣어서 막 돌리면 부르릉 하면서 시동이 걸리지. 그러다 간혹 차가 도랑에 빠지기라도 하면 마을 사람들이 다 나와서 끌어내기도 했지요."

제무시는 GMC라고 하며 미국의 제너럴모터스에서 제작한 트럭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해방 무렵에 들어왔다. 6?25당시 군용으로 쓰다가 미군들이 두고 간 것이 대부분이다.
 

▲ 자신의 한쪽 팔이 잘려진 나무는 이제 반용마을 주민들과 함께 스스로의 생명을 가꿔나갈 것이다.
◆나무와 강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풍경
반용마을의 가구수는 11가구이며 혼자 사는 가구는 5세대이다.
마을 최고령자인 김분임 씨(79)는 17살에 마령에서 시집왔다.
"시집 오기 전에 남편이 일본에서 돈을 벌어서 집으로 계속 보냈다 하더라구. 그걸 시아버지가 허트루 안 쓰고 계속 모았다구 하더라구. 그걸루 내 시집오고 나니 땅도 사고 그래서 먹고 살았지."

작년까지 이장을 맡았던 강성환 씨(48)는 삼대가 사는 집이다. 어머니인 이순이 씨와 강성환 씨 내외와 자녀, 강성환 씨의 동생인 강성주 씨 내외와 자녀 등 삼대가 모여 사는 대가족이다.
"마을에서 잔치하면 우리 가족이 거의 반이야."

"우리 딸이 지금은 고등학생이어서 장계에 가 있는데 초등학교를 여기서 다녔어요. 마을 뒤로 외궁으로 나가는 길이 포장이 된 지 얼마 되지 않았어요. 버스도 없고 한 시간을 걸어서 4년을 학교를 다녔어요."
지금도 반용마을에는 하루에 두 번 밖에 버스가 들어오지 않는다. 그것도 관촌으로 나가는 버스가 오전 9시와 오후 6시에 운행한다.

"병원이라도 갈라믄 9시 버스 타고 가서 택시 타고 들어와. 마을 사람 있으믄 같이 들어오면 차비를 좀 아끼지."
오지마을이라는 것이 다른 이유도 있지만 아무래도 대중교통을 이용하기가 어려운 면에서 오지라는 단어가 붙은 것이 아닐까 싶다. 그러나 오지라는 단어가 붙어 있는 마을일수록 풍경은 아름답고 그만큼 인간과 기계의 손길이 닿지 않기에 산 좋고, 물 좋고, 공기 좋은 마을을 유지할 수가 있다. 어찌보면 저마다 시골마을을 발전시킨다는 논리하에 개발에 눈을 돌리면서 살기 좋은 마을이라고 말하는 현실을 생각하면 참으로 아이러니한 일이다.

올해 정월대보름 달집태우기를 다시 부활시켰다.
당산나무 주위에서 음식을 나누어 먹고 강자락 옆에 달집을 만들어 소지를 태웠다.
"처음에는 잘 될 수 있을까하는 염려가 더 많았는데 다시 하기를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1975년에 만들어진 반용교를 건너면 마을 입구 당산나무가 있다.
당산나무의 수령은 약 200여년 된 것으로 추정하며 마을에서 당산제를 지내면 이 나무 아래에서 지내곤 했다.

"이 나무는 우리 마을의 상징이에요. 마을에서 어떤 일이 있을 때나, 일하다가 잠시 쉴 때나, 누굴 보려고 하면 항상 이 나무 밑에서 보곤 했어요. 그리고 이 반용교를 만들면서 물이 많이 차면 입구까지 물이 찼어요. 그 전에는 안 그랬다고 하더라구요. 그래도 이 낡은 다리를 그대로 두는 것은 모든 사람이 나무와 함께 이 다리가 우리 마을의 상징과도 같다고 하니 쉽게 없애지는 못해요. 그만큼 잘 가꾸는 것도 마을 사람들이 할 일이죠."

그런 당산나무가 조금씩 병이 들었다. 반용교를 만들면서 나무 밑으로 시멘트를 깔면서 나무가 신음하기 시작했다. 이후에 시멘트를 걷어내고 그 주위만 시멘트를 깔고 자갈을 깔았다. 이제 남은 것은 나무 스스로의 몫이다. 나무 스스로 다른 사람에 의해 목숨을 한 번 잃었으니 다시 살아나는 것은 나무 혼자 겪어내야 할 일이다. 그러나 나무는 혼자가 아니다. 반용마을 주민들이 그 나무와 늘 함께 하므로…그래서 나무와 섬진강과 사람이 만들어낸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인 반용마을이 존재한다.  

▲ 술멕이 잔치에 사용할 김치를 담그기 위해 마을 부녀자들이 재료를 손질하고 있다.
▲ 주민들은 마을 앞을 흐르는 강을 반용천이라 부른다. 섬진강 자락이 시원하게 휘감아도는 반용마을. 모든 조건이 어우러져 가장 아름다운 마을 풍경을 만들어낸다.

저작권자 © 진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