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의 자정기능을 위해서는 건전하고 내실있는 지역언론이 꼭 필요

“모든 권력은 부패하기 쉽고 절대권력은 절대적으로 부패한다."

이 말은 영국의 법철학자인 액튼(Acton, 1834~1902)이 남긴 말이라고 하지만 만고에 통하는 진리이다.

그래서 인류는 민주주의를 지향해 오며 입법, 행정, 사법권이 서로 견제하고 균형을 취하는 3권 분립의 정부형태를 발전시켜왔다.

 

여기에다 비판기능을 가진 신문이 가세하여 견제를 하게 됨으로써 흔히 신문을 입법, 행정, 사법에 이어 ‘제4부'라고 부르기도 하고 신문에 종사하는 기자를 무관(無冠)의 제왕이라고도 불렀다. 여기에 방송이 언론의 영역에 들어오고 최근에는 인터넷이 주요 매체로 등장하여 언론환경은 넓고 풍부해졌다.

그럼에도 아직도 언론의 사각(死角)지대가 있다. 바로 각 기초자치단체들이다. 도소재지가 위치한 시에는 지방신문들이 상당히 발행되지만 기타 시군에는 지역신문이 아예 없거나 있더라도 제 구실을 못하는 곳이 대부분이다.

 

언론의 기능이 막히면 여러 가지 부작용이 속출한다. 제왕적 단체장의 등장, 공무원의 복지부동, 지방의원들의 무사안일한 태도, 부실공사의 만연, 여론 왜곡 등의 폐해는 언론이 부단히 감시하고 지적해야 할 부분들이다.

 

어떤 이들은 제 역할을 못하는 지역신문의 탓을 하기도 한다. 물론 지역신문에게도 상당한 책임이 있다. 그러나 지역신문의 노력만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어려움이 너무 많다.

특히 농촌의 경우 인구의 유출로 독자층의 감소와 광고시장이 축소됨으로 경영이 압박받을 수밖에 없다.

또 인재의 빈곤으로 곤란을 겪고 있다. 이미 독자들은 중앙지 수준의 눈높이를 가지고 있는데 지역에서는 그 눈높이에 부응할 만한 신문제작에 참여할 만한 인재가 드물다.

 

기실 독자들도 그 점에서는 많은 양보를 해야 한다. 중앙지든 지방지든 편집국, 정치부, 경제부, 사회부, 문화부, 연예 스포츠부 등의 전문부서에 전문직 기자들이 활동하며 신문을 제작하는데 비해 지역신문들은 많아야 비전문직 기자 2∼3명이 행정, 의회, 지역사회의 대소사를 취급하는 실정이니 충분히 감안하고 이해해야 할 일이다.

그러나 문제는 지역사회의 일이라고 해서 거기에 필요한 지식과 우리 사회 전체의 담론을 이해하는 능력을 지니지 못하고서는 지역사회의 현안을 제대로 이해하고 기사화 시키기는 어렵다는 점이다.

 

기자가 지식과 경륜이 부족하면 문제를 보고도 문제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지역신문들도 이런 문제점을 모르지는 않겠지만 지역에는 이미 그럴만한 인재가 남아있지 않다. 그렇다면 외부에서 필진을 구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설사 필진이 있다해도 지역신문의 경영상태로는 고액의 인건비를 충당할 방법이 없을 것이다.

 

지역사회의 자정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 지역신문의 내실화가 꼭 필요하다면 그 비용을 지역사회가 부담하는 방법도 있다.

이를테면 의회에서 ‘지역신문육성조례'를 제정하여 인건비 보조 등으로 지원하는 방법도 있고, 지역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신문을 구독하고 꼭 구독료를 낸다면 최상이다. 전남 해남군의 경우 전 가구의 70%가 지역신문의 유료구독자라 하는 점은 타산지석의 교훈으로 삼을 만하다.

또는 지역사회 인사들이 후원모임을 만들어 돕는 방안도 생각해봄직 하다.

 

더 좋다고 생각되는 방법은 진안군이 월간으로 발행하고 있는 <자랑스런 진안군정>을 과감히 폐간하고 그 비용을 지역언론육성기금으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사실 자치단체가 스스로 홍보지를 발행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적절하지 않을뿐더러 그 효과도 의심스럽기 때문이다.

/진안문화원장


저작권자 © 진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