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슬레이트·상·하수도 등
노인문제와 청년문제 해결 위해 노력
진안군의회 가 선거구
더불어민주당(기호 1-다) 이우규 군의원 후보

4년마다 우리는 선거를 통해 우리지역을 발전시키고, 우리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할 인물을 선택한다. 하지만 도지사와 교육감, 군수, 도의원, 기초의원 등 수많은 후보들의 정책과 소신 등을 모두 알 수는 없는 것이 현실.
특히 군의원은 더욱 그렇다. 진안군의회에서 진안군을 위해 많은 일을 해야 할 군의원이지만 그 역할이 무엇인지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 또한 사실.
이번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안군의회 의원선거 가선거구에는 더불어민주당 김민규, 정옥주, 이우규 후보와 녹색당 임준연 후보, 무소속 손동규, 이루라 후보 등 모두 6명이 출사표를 던졌다.
6월1일 치러지는 이번 선거를 앞두고 6명의 후보들에게 '1. 출마의 변', '2. 군의원의 역할', '3. 핵심공약 3가지'를 물었다. 군의원 후보들과의 인터뷰는 16일과 17일, 이틀에 걸쳐 진행됐으며, 지면을 통해 후보들의 답변내용을 담아본다. /편집자 주

이우규 후보
이우규 후보

1. 출마의 변
= 4년 동안 의정활동을 하면서 진안에 꼭 필요한 정치인이 되려고 노력했다. 4년 동안 의정활동을 하면서 똑 소리 나는 일꾼, 딱 부러지는 일꾼, 뚝심 있는 일꾼으로 자리매김을 하려고 했다. 더 잘하는 의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
사회적 약자나 어르신들 관련 사항, 아이들의 보육문제, 어르신들의 노후와 관련된 사항, 사회적 약자 장애인 관련 사항들은 좀 더 세심하고, 세밀하게, 그분들이 꼭 필요한 부분들을 정확하게 행정서비스를 해야 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런 것들을 제도화 하고, 법제화해서 그분들이 꼭 필요한 곳에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자 출마를 하게 됐다.

2. 군의원의 역할
= 사실 군의원의 역할은 엄청나게 크다. 군의원이 해야 할 일들이 너무 많은데 시간이 좀 부족한 부분이 있다. 1년에 회기가 100일 안에 해야 하기 때문에 못 한 부분이 있다.
예산을 얼마나 잘 짜고, 편성하는 것에 대해 의회가 심의를 하는데, 그 심의를 잘 하면 군민들의 삶의 지금보다는 훨씬도 나은 삶속에서 성장하고 발전된 모습이 된다. 

군수가 우리의 대표라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사실은 군수가 대표가 아니고 의회가 군민의 대표 기관이다. 의원을 잘 선택해서 잘 해야 군민들의 삶이 조금 더 나아진다.
환경문제도 그렇고, 행정기구에 관련된 문제도 그렇고, 모든 문제가 의회의 승인을 받지 못하면 하나도 할 수 없기 때문에, 의회의 역할은 모든 분야에 걸쳐, 군민들의 삶속에 하나부터 열까지 연결돼 있다.

집행부의 공무원들을 견제하고, 감시하고 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군의회의 가장 큰 역할이다. 또 국가는 법률로 운영되고 있지만, 진안군은 조례로 운영된다. 조례를 제정하고, 심의하고, 의결하는 곳이 의회다.
진안군은 5천억원이라는 자금을 운영하는 큰 회사다. 5천억으로 이익을 내는 것이 아니라 복지 등의 사업비로 쓰여져 없어지고, 다음해에 화수분처럼 생겨나는 대단히 큰 기업이다.
이 예산을 잘 편성하고, 잘 쓰고 하면 군민들이 훨씬 더 많은, 다양한 분야에서 혜택을 볼 수 있다.

의원들 각자가 엄청난 권한 있기 때문에 공부하고 노력해서 이 권한을 잘 활용해야 한다. 그래야만 군민들도 그만큼 좋은 행정서비스, 의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다.
의회가 집행부를 잘 견제하고, 또 협력하면 우리 진안은 군민들은 더 좋은 복지환경에서 살아가고, 모든 분야가 잘 돌아가는 지역이 될 수 있다.

3. 핵심공약 3가지
= 환경문제는 잘 정리해야 할 부분이다. 악취도 그렇고, 슬레트 문제도 그렇고, 상수도, 하수도 문제도 잘 정비되어야겠다.
두 번째는 어르신들의 문제다. 여름에 어르신들을 만났을 때 이런 얘기 했다. 자기는 자기가 사는 곳에서 살다가 돌아가고 싶다고. 요양원, 요양병원으로 가고 싶지 않다고.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행정과 사회복지 단체가 잘 협의해서 진안군에 맞는 돌봄을 고민해야 할 때다.
한 마을을 시범사업으로, 아프신 분들 케어를 하고, 원격진료서비스도 하고, 청년들이 집수리 사회적기업을 만들어 그분들이 살고 있는 집들을 리모델링하고, 리모델링 한 집은 젊은 사람들에게 임대를 주고, 임대비는 어르신들 용돈으로 사용하고. 아직 완전히 다듬어 지지는 않았지만 이런 것들을 생각하고 있다.
청년의 문제 또한 구체화되지는 않았지만, 사회적경제기본조례를 만들면서 사회적기금을 따로 조례로 만들도록 열어 논 부분이 있다.

예전에는 서울이나 큰 도시에서 창업이 가능했는데, 요즘은 인터넷으로 잘 발달돼 진안에서 창업을 할 수 있다. 행정이 아닌 밖에 기구를 만들어서 기금을 심사하고. 청년이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 기금에서 지원해 주는 그런 형태를 고민하고 있다. 청년들이 1년에 한 명이라도 성공하면 진안은 먹고 사는데 문제가 없을 것이다.

우리가 그런 것을 어떻게 만들어 낼지 고민해야 한다. 진안청년뿐 아니라 외지청년들이 진안에 와서 창업하고, 성공할 수도 있고, 실패해도 격려하고, 또 도전할 수 있도록 만들어 내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이 아닌가 생각한다.

저작권자 © 진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