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음 은빛통신원 雲岡 송상완

이달에는 밤과 낮의 길이가 같다는 추분(秋分. 음력 8월24일)과 큰 명절 추석(음력 8월15일)이 들어있다.
추분은 계절적으로 가을의 중간에 해당하며 하지(夏至)에서부터 낮의 길이가 서서히 짧아지기 시작하여 주야의 길이가 같게 된다는 날이다.

이 무렵이면 예로부터 수확한 벼를 가지런히 펼쳐서 가을 햇살 아래 말리고 햇과일을 타고 햅쌀로 떡과 술을 빚어 조상에 아뢴다는 풍요로운 계절이다.

추석이란 음력 8월 15일 대보름으로 이날은 가배일 중추절(嘉俳日, 中秋節) 한가위 등으로 불리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큰 명절의 하나이다.

한가위라고 하는 말은 이미 신라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고유의 명절 명칭이라고 한다. 이날에는 각 가정마다 일가족이 모여 조상에 차례를 올리고 성묘(省墓)를 다닌다.

우리나라 전통사회에서는 음력 정월 초하루와 한식, 추석, 동짓날 등 4번에 걸쳐 차례를 지내거나, 성묘를 하는데 반드시 차례와 성묘를 겸하게 되는 명절이 바로 추석이다.

멀리 잊혀져가고 있는 옛 생활 풍습과 전통놀이를 살펴보면 추석날 대표적인 전통음식으로는 송편이다. 햅쌀을 갈아 반죽을 한 뒤 반원형의 모양을 잡고 그 속에 햇콩과 참깨, 밤 등을 넣고 쪄서 만들거나 토란으로 만든 완자와 토란국 그리고 햅쌀로 빚은 떡과 술이다.

반보기라고 하는 옛날 풍습 하나를 살펴보면 이는 부녀자들의 외출이 통제되었던 전통사회에서 오랫동안 만나보지 못하고 보고파했던 출가한 딸과 친정어머니 사이에서 이날만은 서로 사는 곳에서 중간쯤 되는 곳에 상봉할 장소를 미리 정하여 서로 만나보는 날로 허용되었다 한다.

그러나 하루 종일 같이 상봉하지 못하고 오고가는 시간이 있어 반나절밖에 만나볼 수 없다하여 반보기라고 하는 풍습이 있었다 한다.

잊혀가는 전통놀이를 살펴보면 강강수월래라고 하는 추석 부녀자들의 전통놀이였는데 주로 전라남도 해안지방 부녀자들의 놀이이다.

강강수월래의 유래는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일본 수군과 맞서 싸울 때 그 부근 부녀자들이 산에 올라 불을 피워 놓고 우리 수군을 응원하기 위해서 둥글게 원을 그려 돌면서 강강수월래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저작권자 © 진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