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수몰된 우리지역 유물은 어디로 갔나 2·

글 싣는 순서
  1회: 진안 수몰의 아픔, 진안 유물의 현실
☞ 2회: 조선대 박물관에 숨겨진 진그늘 마을의 역사
  3회: 진안군 청동기 시대를 옮겨 놓은 국립전주박물관 등
  4회: 지역 출토 유물 관리문제 이대로 좋은가
  5회: 지역 유물 제자리 찾아주기의 의미와 전망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아 취재했습니다.

우리 지역 주민들은 용담댐 건설로 많은 것을 잃었다. 물론, 수몰민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보상으로 대신할 문제가 아닌 것 같다. 수많은 농토가 물에 잠겨 먹을거리 생산할 터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지역에서 식량자원을 책임질 수 없게 된 것이다.
흙 밖에 모르며 살아온 주민들은 자연스럽게 정든 고향을 떠나야했다. 실향민이 된 것이다. 그 고통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고향을 빼앗겼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매장문화재 대부분을 빼앗기는 이중의 아픔을 겪고 있다.
우리군 수몰지역에서 출토된 유물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고, 지역에 다시 찾아올 수 있는 방안은 없는지 살펴본다. 지역의 정신이라 할 수 있는 역사적 유물을 다시 한 번 살펴봄으로써 지역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되찾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편집자 주


▲ 구석기 유물이 발견된 진그늘 마을 /사진제공: 조선대
◆우리 지역 구석기 유물, 국외 소개
광주광역시 조선대학교 이기길(사학과 고고학 교수) 박물관장에 의해 우리 지역에서 발굴된 구석기 유물이 국외학회에 소개됐다. 국외학술지에 소개된 곳은 러시아와 유라시아 등이다.

국내학회뿐만 아니라 국외학회에도 2차례에 걸쳐 소개가 된 것이다. 그만큼 역사 학자들 사이에서는 우리 지역의 진그늘 유적이 상징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사례가 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지역에서는 일부 주민들을 제외한 다수의 사람이 구석기 유물이 발굴되었는지조차 모르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 화덕자리 /사진제공: 진안군
◆구석기 유물 1만 2천 점 발견
이기길 고고학 교수가 발굴한 구석기 유물은 1만 2천여 점이다. 구석기 유물이 발굴된 곳은 정천면 모정리 진그늘 마을이다.

이곳에서 발굴된 구석기유적은 전라북도에서도 최초로 입증된 곳이다. 또 후기구석기시대의 돌날 제작기법을 제대로 복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기길 교수는 논문을 통해 20여 개의 석기 무리와 화덕 자리 및 슴베찌르개로 대표되는 석기들이 드러나 유적의 구조와 기능을 밝히기 좋은 연구 대상이라고 밝혔다.

또 석기 무리의 공간 분포를 분석한 결과 구석기인들이 여러 번 유적에 와서 석기를 만든 것으로 드러났다는 것이다.

석기와 함께 발견된 2개의 화덕 자리는 약 66m 떨어진 것으로 볼 때 구석기인들이 한 번 이상 들렸을 가능성을 뒷받침해준다고 설명했다.

진그늘 유적은 구석기 연장으로 사용된 슴베찌르개가 90여 점으로 가장 많아 석재 산지에 있는 생산지 유적으로 가늠된다고 한다.

그러나 용담댐 수몰지역에는 진그늘 유적과 연관되었을 여러 성격의 구석기유적들이 미처 발굴되지 못하고 물에 잠겨있어 아쉬움도 이었다.
 

▲ 씀베찌르개 /사진제공: 진안군
◆동북아, 구석기 연구에 매우 중요
진그늘 유적이 자리한 용담댐 수몰지역은 금강의 최상류지역이다. 또 금강의 중·하류와 이어지고, 섬진강과 낙동강의 최상류 지역과 인접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 수계의 문화가 교류하기 쉬워 고고학에서 아주 중요하게 여기는 곳이기도 하다.

발굴된 구석기 유물은 정천면 모정리 진그늘 유적이 유일하고, 상전면 수동리 외송, 용평리 평은, 갈현리 신전과 원주평, 정천면 모정리 모실 등 5군데의 유물산포지는 지표조사를 통해 찾았다. 하지만, 시간이 없어 발굴하지는 못했다. 지금도 물속에 잠겨있는 것이다.

유물산포지에서 발견된 유물의 종류는 유문암, 석영맥암, 변성암질 규암으로 만들어진 격지, 몸돌, 긁개 등이라고 한다. 이 외에 진그늘 유적은 이기길 교수와 발굴조사단에 의해 2000년 봄에 발견되었다. 여름부터 4개월 남짓 발굴된 것이다.

이기길 교수는 "이 유적은 전북에서 최초로 발굴된 구석기 유적으로 전북지역 고고학 연구에서 시간적 외연을 확대하였을 뿐 아니라 후기구석기시대의 표식유물인 슴베찌르개가 가장 많이 나온 대규모 유적으로 동북아시아 구석기연구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평가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 돌날몸돌 /사진제공: 조선대
◆진안의 역사는 곧 전라북도 역사
진그늘 유적은 밑에서부터 △기반암 △모래자갈층 △적갈색 모래질 찰흙층 △암갈색 모난돌모래질 찰흙층 △적갈색 모래질 찰흙층 △암갈색 찰흙층 △명갈색 찰흙층 △겉흙층(경작층) 등 순으로 되어있다. 퇴적두께는 기반암부터 겉흙층까지 247m로 되어있다.

이중 유물층은 245m부터 247m 사이에 있는 퇴적층에서 후기구석기 문화층에서 1만 2천여 점의 유물이 발견됐다. 이 문화층의 연대는 화덕자리에서 나온 숯을 방사성 탄소연대측정(AMS) 결과 B.P 2만 2천850년으로 나온 것이다.

또 암갈색 찰흙층의 상부에서 나온 숯은 4만 2천 년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후기보다 앞선 중기 구석기 시대에 사람들이 살았다는 것이다. 그만큼 우리 지역에 오래전부터 사람들이 살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기길 교수는 "진안의 역사는 전라북도의 역사로 보아도 될 것이다."라면서 "적어도 7~8만 년 전이 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 진안, 구석기 사냥도구 만든 곳

진그늘 유적은 여느 구석기유적들과 다르게 햇빛이 늦게 들고 일찍 그늘이 짙어 일조량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그럼에도, 후기구석기인들이 여러 차례 찾아왔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진그늘 유적의 입지는 양질의 돌감(석재)을 쉽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지니고 있어 구석기인들이 다시 찾아오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이기길 교수는 암석학자 안건상 교수가 진그늘 유적 현지조사 결과 정자천을 따라 양질의 유문암 자갈이 흔하게 분포되어있고, 유적 앞 천변의 유문암 자갈을 직접 깨어보니 유물과 같은 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후기구석기인들은 진그늘 유적에서 석기를 만들어 밖으로 가지고 간 수가 많았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는 완성된 석기보다 미완성 되고 부러진 파손품이 많았기 때문이다. 모든 정황을 종합해 볼 때 진그늘 유적은 사냥용 석기인 슴베찌르개의 생산을 주된 목적으로 삼았던 곳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완성된 석기로는 대형밀개와 두르개 등이 포함된 점으로 보아 잡은 짐승의 가죽을 가공했던 공간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또 이곳에서 발견된 2개의 화덕자리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음식을 조리하며, 어둠을 밝혀 맹수의 접근을 막는데 쓸모가 컸던 것이다.

이기길 교수는 이런 점들을 통해 진그늘 유적의 기능은 후기구석기시대의 사람들이 양질의 석재산지에서 슴베찌르개를 대량으로 만들던 생산지 유적으로 추정하고 있었다.

▲ 이기길 박물관장
인터뷰 … 이기길 조선대 박물관장

우리나라 구석기 연구사에서 처음으로 연구된 자리는 공주 석장리 유적이다. 이곳은 금강 물줄기의 중간지점이다. 하지만, 금강 최상류지역에서는 아직까지 구석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지 않았다.

용담댐 건설로 금강 최상류지역이 수몰된다는 소식을 접한 이기길(조선대 사학과) 교수는 당시 용담댐 수몰지역 조사단 윤덕향(호남고고학회장) 단장을 찾아가 구석기유적의 지표조사를 건의하고 허락을 받았다.

이는 주암댐 건설로 물에 잠긴 보성강 유역에서 발굴되지 않은 구석기 유물이 물이 빠지면서 곳곳에 드러났던 과정을 보았기 때문이다. 용담댐도 주암댐과 마찬가지로 똑같은 현상이 되풀이될 것으로 판단했던 것이다.

"지표조사 허락을 받아 연구원을 불러 수몰지역 지도를 보면서 지표조사를 했죠. 지표조사 결과 정천면 모정리 진그늘 마을 옆 농고리들판의 채토지 약 90여 평에서 슴베찌르개 4점을 포함한 돌날몸돌과 돌날 그리고 마을 천변밭에서 신석기시대의 질그릇과 석기 편들을 발견하게 됐습니다."

또 모정리 모실에서도 유문암 격지와 석영맥암 몸돌을 찾았다. 이 사실을 윤 단장에게 보고하고, 그 뒤 5월에 열린 지도위원회에서 진그늘유적은 갈머리, 망덕유적과 함께 추자 발굴지로 결정되었다. 이렇게 해서 후기 구석기 시대 대표적인 슴베찌르개가 물속에 묻힐 위기를 모면한 것이다.

"수몰되기 직전에 긴박하게 조사되었죠. 그렇다 보니 상전면 수동리 외송, 용평리 평은, 갈현리 신전과 원주평, 정천면 모정리 모실 등은 시간이 없어 발굴하지 못했어요."

이 교수는 오래전부터 우리 지역에 사람이 살았다는 것을 입증했다. 만약 용담댐이 건설되지 않았다면 전라북도 기념물 지정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용담댐 건설이 어쩔 수 없었지만 수몰이 안 되었다면 전라북도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곳이 되겠죠. 차선책으로 발굴된 유물을 전시해 많은 사람에게 알리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제는 자존심과 긍지를 갖는데 투자를 해야 합니다. 발굴된 유물들은 훌륭한 문화유산입니다."

저작권자 © 진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