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수몰된 우리지역 유물은 어디로 갔나 3·

글 싣는 순서
  1회: 진안 수몰의 아픔, 진안 유물의 현실
  2회: 조선대 박물관에 숨겨진 진그늘 마을의 역사
☞ 3회: 진안군 청동기 시대를 옮겨 놓은 국립전주박물관 등
  4회: 지역 출토 유물 관리문제 이대로 좋은가
  5회: 지역 유물 제자리 찾아주기의 의미와 전망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아 취재했습니다.

우리 지역 주민들은 용담댐 건설로 많은 것을 잃었다. 물론, 수몰민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보상으로 대신할 문제가 아닌 것 같다. 수많은 농토가 물에 잠겨 먹을거리 생산할 터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지역에서 식량자원을 책임질 수 없게 된 것이다. 흙 밖에 모르며 살아온 주민들은 자연스럽게 정든 고향을 떠나야했다. 실향민이 된 것이다. 그 고통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고향을 빼앗겼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매장문화재 대부분을 빼앗기는 이중의 아픔을 겪고 있다.
우리군 수몰지역에서 출토된 유물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고, 지역에 다시 찾아올 수 있는 방안은 없는지 살펴본다. 지역의 정신이라 할 수 있는 역사적 유물을 다시 한 번 살펴봄으로써 지역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되찾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편집자 주


▲ 국립전주박물관 본관 건물
◆진안, 인류 역사와 함께 시작
구석기 시대는 인류가 최초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한 때이다.
우리 지역도 예외는 아니었다. 구석기 시대의 유물이 발굴되면서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다.

이를 증명한 곳이 바로 조선대학교다. 구석기 시대의 유물은 금강 최상류인 진안고원에 자리하고 있다.
우리 지역이 전북지역에서 최초로 발굴 조사됐다. 구석기 시대의 문화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생활유적이 확인된 것이다.

생활유적에서 발견된 유물은 사냥용 슴베찌르개를 비롯한 물건을 처리 또는 가공했던 공간 등이다. 지형과 지역으로 볼 때 구석기 시대의 대표 유적이라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 청동기시대 민무늬 토기
그렇기 때문에 조선대학교는 우리 지역에서 발견된 구석기 시대 문화층을 국외에 소개했다. 용담댐 수몰지역에서 발견된 유적이 그만큼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셈이다.

조선대학교에서 발굴한 유물은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소중히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는 아직도 조선대학교에서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대학교의 발굴 결과로 진안의 역사가 인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는 점이 다시 한번 확인된 기회가 되었다.

우리 군은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문화 콘텐츠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학계의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 청동기시대 돌살촉
◆진안역사, 전주박물관 대신 관리
국립 전주박물관에서는 구석기 시대 발굴 유물 외에도 조선시대까지 시대별 발굴 유물 700여 점이 보관돼 있다. 이중 70여 점을 현재 진안역사박물관에서 대여해 전시하고 있다.

수몰지역에서 발굴된 청동기 시대 유물을 전주박물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유물은 간돌검과 붉은 간토기, 민무늬 토기, 곡식을 가공한 도구와 농공구 등이다. 전시되고 있는 유물은 정천면과 안천면 그리고 상전면 일원에서 조사되었다. 이 지역 유구는 생활유구와 분묘로 구별된다.

두 개의 지류인 안자천과 정자천에서 집중되어 발견됐다. 안자천은 구곡, 수좌동, 안자동, 풍암 등이다. 정자천은 여의곡, 망덕, 모곡, 진그늘, 농산 등에서 유구들이 가장 밀집되어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곳의 생활유적으로는 주거지, 밭, 지석묘 상석을 옮긴 길, 원형 및 장방형 수혈유구, 구상유구 등이었다.

▲ 청동기시대 농공구
주거지는 대부분 송국리형 문화요소를 갖추었다. 송국리형 유적은 내부에 타원형 구덩이가 있는 것도 있지만 없는 것도 존재했다고 한다.

여의곡에서 발견된 밭은 야산으로부터 하천 방향으로 뻗어 있어 등고선 방향과 직교하고 있었다. 밭은 파상의 굴곡을 이루는 고랑과 두둑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들 사이에서 토기와 석기 등이 출토되었다.
이곳에서는 조, 피, 율무, 기장 등과 벼가 재배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또 여의곡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지석묘 상석을 옮기는 상석 이동로로 추정되는 길을 발굴 조사했다. 상석 이동로는 상석의 이동방법과 이동방향 그리고 채석장의 설정을 가능하게 해 주고 있다.

또 분묘를 확인한 결과 다른 지역과는 다르게 집단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특징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이러한 무덤의 군집현상은 당시에 혈연관계를 보여주고 있어 의미가 있다고 한다.
이처럼 생활 유구와 분묘 그리고 토기와 석기 등은 시대적인 배경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 청동기시대 곡식을 가공하던 도구
◆지역박물관, 조건 갖추면 귀속 가능
이처럼 많은 유물이 국가로 귀속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지역에서 발굴된 유물은 국립전주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모든 매장문화재는 발굴과 동시에 국가로 귀속되기 때문이다.

국립전주박물관 최흥선 학예연구사는 "기초자치단체에서 보관 관리할 수도 있지만 이는 현재로서는 개인적인 욕심에 불과하다."라면서 "국가로 귀속된 유물을 진안으로 귀속하기 위해서는 진안 박물관의 규모를 확장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는 기초자치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박물관이 합당한 조건을 갖추면 지역으로 귀속도 가능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 청동기시대 간돌검
하지만, 대한민국 기초자치단체 중 조건을 갖춘 곳이 없다고 한다. 진안역사박물관도 여기에 속한다. 국가로 귀속된 유물을 기초자치단체에서 관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먼저, 진안역사박물관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장이 상시 근무해야 한다. 또 학술대회와 학술연구를 수행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외에도 보조할 수 있는 관련 부서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흥선 학예연구사는 "박물관장 등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 이유는 국가로 귀속된 유물이 망실 되거나 유실, 도난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요건을 보기 위함이다."라면서 "전시하는 기능 외에 유물에 대한 보관, 연구, 교육 등 기초자치단체에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이런 면에서 진안의 역사박물관은 있으나 마나 한 박물관으로 비쳤다. 박물관의 이름만 건 것이지 박물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의미다.

▲ 윤덕향 교수
인터뷰 … 당시 수몰지역 조사단장 윤덕향 전북대 교수

용담댐 수몰지역을 조사하기 위해 조사단장으로 활동했던 전북대 윤덕향 교수를 찾았다. 윤 교수는 용담댐 수몰지역에서 여러 가지 의미 있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용담댐 수몰지역은 고고학적 조사와 연구가 미진한 전북 동부지역에 대한 본격적이고, 대규모 조사가 이루어졌다는 점만으로도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구석기 시대에서부터 고려, 조선시대에 이르는 시기의 각종 문화유적이 조사·확인돼 진안 지역의 고대 문화와 역사적 좌표를 가늠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였다는 점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시대별 문화유적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으로 구석기 시대 유물을 꼽았다. 또 전북 내륙지방에서 드물게 신석기 유적이 발견된 점을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이 되었다는 것이다. 빗살무늬 토기 등이나 고인돌과 결합하는 유적이 조사되었다는 점도 높이 평가했다.

"구석기 시대 유적이 존재할 것이라는 막연한 추정을 입증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까지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은 전북지역 고고학 연구에서 큰 성과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신석기 유적으로 해안가와 섬 등에서 주로 살았던 흔적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용담댐 수몰지역을 발굴하면서 해안이 아닌 신석기인이 내륙에서도 살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신석기 시대 생활 영역이 해안에서 내륙까지 확대된 점을 진안에서 알게 된 것입니다. 이는 전라북도 신석기시대 양상을 보여주는 곳이 진안밖에 없어 내륙지방에서 신석기 유물의 대표지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내륙지방에서 드물게 발견된 빗살무늬 토기 등 관계 유적을 확인하고 시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유적 등으로 고인돌과 결합하는 유적이 조사되었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고인돌은 진안의 고인돌이 대표적입니다. 수몰지역에서 발견된 고인돌은 특이한 형태의 고인돌이 발견되었습니다. 대부분 고인돌은 개인묘가 아닌 집단묘로 구별됩니다.

진안은 혈연적으로 가까운 사람이 모여 살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몰지역에서 발견된 고인돌과 같은 형태가 다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아 고인돌 문화를 이해하는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진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